2024.06.22 (토)

  • 흐림속초21.9℃
  • 흐림22.9℃
  • 흐림철원22.1℃
  • 흐림동두천23.1℃
  • 흐림파주21.7℃
  • 흐림대관령17.5℃
  • 흐림춘천22.7℃
  • 비백령도19.4℃
  • 흐림북강릉21.2℃
  • 흐림강릉22.3℃
  • 흐림동해20.6℃
  • 흐림서울25.3℃
  • 흐림인천24.0℃
  • 흐림원주24.4℃
  • 흐림울릉도21.6℃
  • 비수원22.9℃
  • 흐림영월20.6℃
  • 흐림충주22.7℃
  • 흐림서산23.3℃
  • 흐림울진20.1℃
  • 비청주25.0℃
  • 비대전23.8℃
  • 흐림추풍령21.5℃
  • 흐림안동22.0℃
  • 흐림상주22.8℃
  • 흐림포항22.7℃
  • 흐림군산22.8℃
  • 흐림대구23.1℃
  • 흐림전주24.6℃
  • 흐림울산21.0℃
  • 흐림창원22.7℃
  • 흐림광주23.8℃
  • 흐림부산22.9℃
  • 흐림통영22.0℃
  • 비목포22.9℃
  • 비여수22.1℃
  • 비흑산도20.8℃
  • 흐림완도22.5℃
  • 흐림고창24.0℃
  • 흐림순천20.5℃
  • 비홍성(예)22.7℃
  • 흐림21.9℃
  • 박무제주23.4℃
  • 흐림고산22.8℃
  • 흐림성산23.2℃
  • 안개서귀포23.4℃
  • 흐림진주21.6℃
  • 흐림강화22.3℃
  • 흐림양평22.9℃
  • 흐림이천22.5℃
  • 흐림인제21.5℃
  • 흐림홍천22.1℃
  • 흐림태백17.2℃
  • 흐림정선군19.4℃
  • 흐림제천20.9℃
  • 흐림보은22.1℃
  • 흐림천안21.9℃
  • 흐림보령23.7℃
  • 흐림부여21.7℃
  • 흐림금산23.2℃
  • 흐림22.9℃
  • 흐림부안23.5℃
  • 흐림임실22.2℃
  • 흐림정읍24.5℃
  • 흐림남원22.3℃
  • 흐림장수21.5℃
  • 흐림고창군24.1℃
  • 흐림영광군23.7℃
  • 흐림김해시22.6℃
  • 흐림순창군22.5℃
  • 흐림북창원23.7℃
  • 흐림양산시23.5℃
  • 흐림보성군22.4℃
  • 흐림강진군22.6℃
  • 흐림장흥22.5℃
  • 흐림해남23.1℃
  • 흐림고흥22.5℃
  • 흐림의령군23.0℃
  • 흐림함양군22.1℃
  • 흐림광양시22.2℃
  • 흐림진도군22.6℃
  • 흐림봉화19.4℃
  • 흐림영주20.9℃
  • 흐림문경22.5℃
  • 흐림청송군18.7℃
  • 흐림영덕19.4℃
  • 흐림의성21.2℃
  • 흐림구미23.4℃
  • 흐림영천20.5℃
  • 흐림경주시20.9℃
  • 흐림거창21.0℃
  • 흐림합천22.3℃
  • 흐림밀양22.7℃
  • 흐림산청22.1℃
  • 흐림거제22.7℃
  • 흐림남해22.2℃
  • 흐림23.4℃
기상청 제공
국토교통부 시공능력 평가 결과 발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포츠

국토교통부 시공능력 평가 결과 발표

국토교통부 시공능력 평가 결과 발표

삼성물산 5년 연속 1위…현대건설·대림산업 뒤이어


국토교통부(장관김현미)가 전국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공사실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신인도 등을 종합평가한 ‘2018 시공능력 평가’ 결과, 토목건축공사업에서 삼성물산㈜이 17조 3,719억 원으로 5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2위는 현대건설㈜(13조 675억 원)이 차지하였으며, 3위는  대림산업㈜(9조 3,720억 원)으로  4위 ㈜대우건설(9조  1,601억 원)과 순위가 바뀌었다. 지에스건설㈜(7조 9,259억 원)과 현대엔지니어링㈜(7조 4,432억 원)은 각각 한 계단 상승해 5위와 6위에 올랐다. 7위는 지난해 보다 두 계단 하락한 ㈜포스코건설(6조 9,633억 원)이, 8위와 9위는 롯데건설㈜(5조 5,305억 원), 에스케이건설㈜(3조 9,578억 원)이, 10위는 순위가 두 계단 하락한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3조 4,280억 원)이 각각 차지했다.


 < 2018년 시공능력 상위 10개사(토목건축공사업) >


‘시공능력평가’는 발주자가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건설공사 실적·경영상태·기술능력 및 신인도를 종합 평가하여 매년 공시(7월 말)하여 8월 1일부터 적용되는 제도다. 발주자는 평가액을 기준으로 입찰제한을 할 수 있고, 조달청의 유자격자명부제(시공 능력에 따라 등급 구분 [1등급(6,000억 원 이상)~7등급(80억 원)] 하여 공사 규모에 따라 일정 등급 이상으로 입찰 참가자격 제한), 도급하한제(중소 건설업체 보호를 위해 대기업인 건설업자(시평액 상위 3% 이내, 토건 1,200억 원 이상)는 시평금액의 1% 미만 공사의 수주 제한) 등의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올해 토목건축공사업의 시공능력 평가 총액은 238조 3천억 원으로 지난해(231조 6천억 원)에 비해 소폭(2.9%) 증가했다. 평가항목별로 보면, ‘실적평가액’의 경우 ‘14∼’16년 주택경기 호조로 인한 건축착공 실적 증가의 영향이 여전히 이어져 전년(89조 1천억 원)에 비해 8.2% 증가한 96조 4천억 원을 기록했다. (주거용 건축착공 면적 현황 추이(전년대비 증감률) : ‘13년(6.0%)→’14년(10.6%)→’15년(48.3%)→’16년(-9.0%)→’17년(-21.5%))

실적 개선에 힘입어 전년대비 ‘경영평가액’은 5.8% 증가한 81조 7천억 원을, ‘신인도평가액’은 15.5% 증가한 14조 6천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반면 ‘기술평가액’은 기술개발투자비 인정범위 축소로 13.5% 감소한 45조 4천억 원으로 나타났다.


종합건설업의 업종별 공사 실적(‘17년) 주요 순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토건 분야는 삼성물산이 8조 1,895억 원, 대림산업이 7조 6,444억 원, 대우건설이 7조 3,602억 원을 기록했으며, 토목 분야는 삼성물산이 2조 2,229억 원, 현대건설이 2조 624억 원, 대우건설이 1조 8,548억 원을 기록했다. 건축 분야는 대림산업이 6조 1,375억 원, 삼성물산이 5조 9,666억 원, 지에스건설이 5조 7,226억 원을 기록했으며, 산업·환경설비 분야는 삼성엔지니어링이 3조 9,049억 원, 지에스건설이 3조 646억 원, 현대엔지니어링이 2조 8,982억 원을 기록했다. 조경 분야는 반도건설이 1,349억 원, 제일건설이 1,278억 원, 호반건설이 779억 원을 기록했다.


주요 공종별 공사실적(‘17년) 주요 순위는 다음과 같다.

토목 업종 중에서 ‘도로’는 현대건설(1조 1,004억 원), 삼성물산(9,051억 원), 대우건설(7,831억 원) 순이고, ‘댐’은 에스케이건설(1,298원), 삼성물산(1,178원), 현대건설(495억 원) 순이다. ‘지하철’은 삼성물산(5,849억 원), 지에스건설(4,653억 원), 에스케이건설(2,171억 원) 순이다. ‘상수도’는 코오롱글로벌(720억 원), 금호산업(313억 원),  한진중공업(222억 원) 순, ‘택지용지조성’은 대우건설(2,154억 원), 에스케이건설(1,842억 원), 대광건영(1,168억 원) 순이다. 

건축업종 중에서 ‘아파트’는 지에스건설(4조 3,605억 원), 대우건설(4조 1,630억 원), 대림산업(4조 1,029억 원) 순이고, ‘업무시설‘은 현대건설(9,127억 원), 대림산업(8,668억 원), 대우건설(5,656억 원) 순이다. ’광공업용 건물’은 삼성물산(3조 2,079억 원), 지에스건설(9,531억 원), 서브원(6,791억 원) 순이다.

산업·환경설비업종 중에서는 ‘산업생산시설’은 에스케이건설(1조 2,307억 원), 대림산업(1조 1,886억 원), 지에스건설(1조 1,692억 원) 순이며, ‘화력발전소’는 두산중공업(8,833억 원), 현대엔지니어링(7,867억 원), 에스케이건설(6,675억 원)순이다. ‘에너지 저장·공급시설‘은 대우건설(7,998억 원), 현대건설(7,787억 원), 현대엔지니어링(6,060억 원) 순이다.

이번 시공능력평가 건설업체는 총 59,252개로 전체 건설업체 67,436개 사의 88%이다. 개별 건설업체 대한 자세한 평가 결과는 업종별 건설협회 누리집(대한건설협회 www.cak.or.kr, 대한전문건설협회 www.kosca.or.kr,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www.kmcca.or.kr, 대한시설물유지관리협회 www.fma.or.kr)에서 발주처 등 국민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 건설업체 등록현황 및 시공능력평가 업체 수 (‘18.7.20 현재) >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